오늘 오신 환자가 바로그랬다. 과거 Stroke 병력 이후에 치매증상으로 병력청취가 매우 어렵고, 혼란의 여지가 많다.
게다가 위생상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는 경우가 많고, 현재 투약중인 약, 앓고 있는 질병조차도 잘 모른다.
어떻게 했어야 하나.
1. MMSE로 치매정도 파악
2. 투약기록을 최대한 다양하게 찾아본다.
3. P/E를 가능한한 많이한다. (V/S , 혈당, 안저검사, 이경검사 등등 내가 가진 모든것을 동원해서 해보자.)
4. 지지적 치료. : 자기가 기억력이 떨어졌다는 사실을 숨기려고 심한 초조감을 느끼고 당환한다.존엄성을 유지해주려고 노력.
5. 치료
- 혈관성 치매이므로, Aspirin 예방목적으로 투여.
- 기존에 드시던 혈압약 처방
- acetilcholine esterase inhibitor 처방하면 좋겠지만, 너무 비쌈 ㅠㅠ 1알 3000원.. 내맘대로 줘도 되나.
- NMDA receptor blocker가 가격은 싸긴한데.. AChe Inhibitor 써보고 안되면 선택하는 약.
6. 이후에 혈압체크 지속적으로 해보고 안되면 약을 바꾸자.
-뇌졸중 환자에서 ACE inhibitor와 Diuretics 조합이 뇌졸중의 재발을 낮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-현재 먹는 약은 CCB,
- A+C+D 를 사용하고 싶은데, 이분이 A 가 금기.
- 따라서 다음번에 오시면 C+D로 처방해야겠다. 다이크로짇25mg 1 1 30 으로 줘봐야겠다.
'Healthcar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손톱 진균증 치료 (0) | 2011.06.20 |
---|---|
DPP-4 inhibitor 써볼까나? (0) | 2011.06.16 |
관절염 - 어떤약을 처방할것인가? (0) | 2011.05.26 |
골다공증 치료제의 보험 급여 인정 기준 (0) | 2011.05.26 |
허리통증 처방 (0) | 2011.05.24 |